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

운동량과 충격량 (1) 야구장에서 날아오는 야구공을 잡아본 경험이 있는가? 느리게 날아오는 야구공은 맨손으로 받아도 그리 손이 아프지 않지만, 빠르게 날아오는 야구공을 맨손으로 잡으면 손이 매우 아프다. 이처럼 같은 야구공이지만 느린 공보다 빠른 공의 운동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투포환과 야구공이 같은 속력으로 굴러올 때 투포환을 정지시키기가 야구공을 정지시키는 것보다 더 큰 힘이 든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질량이 큰 투포환의 운동 효과가 질량이 작은 야구공의 운동 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물체의 질량이 같을 때는 속도가 빠른 물체의 운동 양이 속도가 느린 물체보다 크고, 속도가 같을 때는 질량이 큰 물체의 운동량이 질량이 작은 물체의 운동량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물체.. 2022. 12. 9.
힘 (3) 작용과 반작용의 두 힘, 즉 쌍을 이루는 두 힘이 곧바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물체가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반작용의 힘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작용 반작용의 두 힘을 다루는 데 한 가지 가장 간단한 방법은 먼저 상호작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물체가 다른 물체와 상호작용한다면 작용 반작용은 다음과 같이 기억하면 쉽다. 작용은 물체 A가 물체 B에 가하는 힘, 반작용은 물체 B가 물체 A에 가하는 힘. 이때 반드시 상호 작용하는 두 물체 A와 B를 확인해야 한다. 만일 A가 B에 가한 힘이 작용이라면 반작용은 단순히 B가 A에 가한 힘이다. 물체가 떨어지는 동안 물체와 지구 사이의 상호 작용은 바로 만유인력이다. 흥미로운 것은 .. 2022. 12. 9.
힘 (2) 이것을 뉴턴의 운동 제1 법칙 또는 관성의 법칙이라고 한다. 관성의 법칙으로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원인이 힘이라는 것과 정지상태에 있는 물체와 등속도 운동하는 물체는 모두 가속도가 0인 운동 상태라는 것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 관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은 무엇일까? 정지하고 있는 질량이 큰 물체를 이동 시킬 때가 질량이 작은 물체를 이동시킬 때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며, 같은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 질량이 큰 물체와 질량이 작은 물체 중에서 질량이 큰 물체를 정지시키기가 더 어렵다는 것을 경험으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질량으로 그 물체의 관성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관성에 의한 현상은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정지돼 있던 자동차가 갑자기 출발할 때는 몸이.. 2022. 12. 9.
힘(1) 힘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으로 만져볼 수도 없는데 어떻게 알아볼 수 있으며,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 고무풍선을 손으로 누르면 모양이 달라지고 더 세게 누르면 풍선이 터지고 만다. 또 손에 들고 있던 야구공을 던지면 공중으로 날아가고, 앞으로 굴러오는 축구공을 발로 차면 굴러오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멀리 날아간다. 이것은 모두 그 물체에 힘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힘은 물체의 모양이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요인이므로, 물체의 변형이나 운동 상태의 변화 정도로 힘이 얼마나 크게 작용하였는지 알 수 있다. 운동의 원인이 힘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힘만 있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힘을 잘 이용할 줄 아는 씨름선수가 상대방을 쉽게 이길 수 있다. 가벼운 가방 정도는 작은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지만.. 2022. 12. 9.
반응형